블로그 이미지
한국에서 태어나 집은 페낭이고 도쿄에서 일하는 루슨(여권 미들네임)이 써 가는 블로그입니다. #Korea #Penang #Tokyo
루슨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25/07/18'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5.07.18 일본의 복날
2025. 7. 18. 16:22 일상 日常

오랫만에 페이스북에 들어 갔다가 12년 전에 쓴 글이라고 뜨길래 여기에 옮겨 둡니다.

일본의 복날

한국에선 삼계탕, 보신탕을 먹는데 일본에선 우나기(うなぎ, 장어)를 먹습니다.

일본에도 복날이 있을까요? 이해를 돕기 위해 복날(伏日)이라고 했을 뿐 없습니다. 비슷한 의미의 도요노우시(土用の丑)가 있습니다.
이날 모두 장어 덮밥을 먹습니다. 슈퍼나 백화점에는 장어 사느라 북세통을 이룹니다.

한국은 삼복(三伏)이라 해서 초복, 중복, 말복 이렇게 3번에 걸쳐 보신하는데 비해 일본의 우나기 먹는 날은 1번 또는 2번입니다.

왜 한번 아니면 두번??

그 해답은 土用の丑에 있습니다.
토용(土用)은 음양오행(陰陽五行), 축(丑)은 십이지간(十二支間)의 하나입니다.
중화 문화권인 한국의 선조들은 우주 만물과 인간사를 모두 주역(周易)의 음양오행으로 풀었습니다.

음양은 달(月)과 해(日)
오행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입니다. 이렇게 나열 해 보니 어서 많이 보던 한자죠? ㅎ 네, 월요일(月)부터 일요일(日)까지 일주일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오랫만에 주역을 들춰내려니 새록새록합니다. ㅎㅎ
음양오행에서 해와 달에 해당하는 일(日)과 월(月)을 제외한 오행으로 모든 걸 해석합니다. 천체를 보면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 그리고 오장육부의 오장(五臟)이 오행에 해당되어 목-간(肝), 화-심(心), 토-비(脾), 금-폐(肺), 수-신(腎)입니다.

재밌는 건 우리 이름에도 이 오행이 숨어있다는 사실입니다.
항열자를 정할 때 이 오행순으로 정합니다.
저희 할아버지 항렬이 화(和)로 목(木)이 들어 있습니다. 아버지의 항렬은 연(然)으로 화(火)가 있고 저는 교(教)로 토(土)자가 들어 있습니다.

복날 설명하다 너무 멀리 왔네..!! ㅋ

이런식으로 사계절을 대입하면 봄(春)-목(木), 여름(夏)-화(火), 가을(秋)-금(金), 겨울(冬)-수(水)가 되는데 하나가 남습니다. 토(土)..

그래서 이 토를 4계절 각각에 배치합니다.
365일을 4계절로 나누면 91일이 되는데 입동(立冬)부터 73일을 제외하고 소한(小寒)부터 입춘(立春)까지 18일을 토용(土用)으로 두었습니다. 이렇게 사계절이 시작되기 전 18일이 토용인데 여름의 토용(土用)에서 축(丑)의 날에 우나기(鰻)를 먹습니다. 축은 12지간의 하나이니 18일 안에 한번 있는 해도 두번 있는 해도 있게 됩니다.

오랫만에 주역을 떠올리니 사주(四柱)와 궁합(宮合)이 생각납니다. 제가 중학교 방학 때 아버지한테 한문을 배우면서 제일 먼저 배운게 육십갑자(六十甲子)와 궁합입니다. 지금도 명심보감 이전에 왜 그걸 가르치셨는지 아버지의 깊은 뜻이 의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ㅎ

기회되면 여러분도 봐 드릴께요.. ㅋ

'일상 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사투리  (0) 2019.11.06
지천명(知天命)은 개 뿔  (0) 2019.03.19
공항 데이트  (0) 2019.02.15
운명이려니..  (0) 2017.12.23
PASSION  (0) 2017.11.02
posted by 루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