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한국에서 태어나 집은 페낭이고 도쿄에서 일하는 루슨(여권 미들네임)이 써 가는 블로그입니다. #Korea #Penang #Tokyo
루슨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15. 1. 13. 00:03 싱가포르

모르고 당하기엔 너무나 엄청난 담배에 관한 진실


- 싱가포르 담배갑은 끔찍해서 못 올리고 그래도 좀 나은 타이완에서 찍은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연말 싱가포르에 갔을 때 일 입니다.
새해부터 금연이나 해 볼까 하고 남은 담배 몇 갑만 여행 가방에 챙겨 갔는데 싱가포르에 도착하기 전에 방문한 베트남에서 딱 떨어졌습니다.

아침부터 참아야지 한번 피고 나면 중간에는 참기 힘들어 담배를 구입하러 차이나타운 쇼핑 거리를 어슬렁거리다 겨우 담배 가게를 발견. 그런데 눈을 의심할 정도로 징그러운 사진이 담배갑의 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처음엔 사진인 줄 알았는데 그림이랍니다. 눈을 핀셋으로 고정시킨 그림, 태아가 웅크리고 있는 그림, 혀가 반쯤 썩어가는 그림 등.. 담배갑 그림 밑에는 흡연은 실명 위험이 있고 유산의 위험이 있으며 혀암의 원인이 된다는 설명까지 있습니다.
담배갑을 쳐다보기 조차 무섭고 끔찍합니다.

그 충격적인 답배갑은 말레이시아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편의점에 가서 둘러 보다가 결국 살 용기를 못내고 돌아서 나왔는데 편의점에 히잡을 쓴 무슬리마 점원이 불쌍할 지경이었습니다. 그걸 늘상 봐야한다니..


- 결국 돌아오는 길에 쿠알라룸푸르 공항에서 하나 구입했습니다.

싱가포르 담배에 관한 충격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주위에 재털이가 안 보여서, 걸리면 벌금 내지뭐! 하면서 폈는데 벌금 간판을 보니 1000 싱가폴 달러!! 우리돈 81만원!!!


게다가 싱가폴에서 구입한 담배만 되고 반입한 담배를 세금 안 내고 피다 걸리면 1만 싱가폴 달러(81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3년 이하의 징역!!!!

싱가포르 가셔서 담배 필 생각은 안 하시는 게 좋습니다.

우리나라도 새해부터 담배값이 두배 오른다죠?
저는 외국에 살아 변화가 없지만 그래도 끊어야 하는데..

다 같이 끊어 볼까요?

'싱가포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지노를 통한 셀프 마인드 컨트롤  (0) 2014.12.14
A crisis can be an opportunity  (0) 2014.11.20
posted by 루슨
2015. 1. 12. 14:45 중국 中国

정치의 꿈을 품고 지난 20여년간 사회 봉사활동에 몸을 던졌던 제가 5년 전부터 사업가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법인 설립할 때 지구 위에 5개의 점을 찍었는데 그 4번째로 중국 사무실을 준비하면서 계속 머리 속에 맴돌 던 상인(商人)에 대해 정리 해 보고 싶었습니다.

상인하면 젤 먼저 뭐가 떠오를까요?
돈이죠.. ㅎ
돈하면 재벌 2세. 그 재벌이란게 상인이니까요.

그렇지만 상인의 사회적 지위는 결국 돈이 만들어 낸 허상일 뿐입니다.
예로부터 상인은 천시했고 지금도 때로는 정치하는 사람들 뒷치닥거리나 하고 있죠.

옛날의 계급은 공경대부(公卿大夫)와 사농공상(士農工商)으로 나뉩니다. 공경대부는 벼슬을 한 사람이고 일반 백성을 또 사농동상으로 나누는데 그 중에서도 제일 신분이 낮은 계층이 상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사(士)가 선비인데 비해 일본은 사무라이라는 것만 빼고 같습니다.
당근 중국에서 왔는데 원인을 거슬러 보면 공자님 시대였던 주나라(周, 기원전 1046년〜기원전 256년)까지 올라갑니다.

고대 중국이 삼황오제(三皇五帝) 시대를 거쳐 하은주(夏殷周) 시대가 있었던 건 학창시절에 배웠죠?
여기서 하나라가 망하고 건국한 은나라가 원래는 상나라였습니다. 상나라의 마지막 도읍이 은(殷)이었고 주나라 기록에도 은으로 남아 있어 은나라라고 하지만 학계에서는 나라를 세운 부족이 상(商)이어서 상나라라고 한답니다.

봉건 국가로 발돋움하는 주나라는 개국공신과 친족들을 각국에 파견하여 다스리게 했습니다. 그때 우리에게 너무도 유명한 개국공신 강태공(태공망 강상)은 제나라를 하사 받았습니다. 그래서 상나라 사람들은 천하 어디에도 설 자리가 없어 각국을 떠돌며 장사를 하게되니 사람들한테 상나라 사람이란 뜻의 상인(商人)이라 불리기 시작합니다.

나라 없이 떠도는 형편이라 좋은 대우를 기대할 수 없었고 그 이후에도 농산품과 공산품이 턱없이 부족한 시대라서 의식주 해결을 위해 뭐든 만들어 내는걸 권장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우리도 농자천하지대본야(農者天下之大本也)가 삼국사기에 나올 정도로 백성들 먹여 살리는 일을 가장 중히 여겼습니다.

그런 상인이 손에 돈을 쥐고 입에 풀칠하는 걱정을 덜면 깨닫습니다. 돈보다 중요한게 있다는 걸.. 조국과 민족을 걱정하는 건 딴 사람이 할 일이고 본인과 후세의 영광을 위해 뭘 해야 할까?

그래서 예전엔 몰락한 양반집 가문의 족보를 사서 뼈대있는 가문으로 위장하고 요즘에는 명예 박사학위나 감투를 위해 동분서주합니다.

그러나 상인이 해야 할 일은 따로 있습니다.

세상에서 벌어 들인 돈(銭)를 재 분배하는 일입니다. 돌고 도는게 돈이라고, 돈은 '돈다'의 동사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돈의 재 분배와 사회 공헌은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로도 나타나는데 요즘엔 사회 지도층의 책임 추궁으로 더 많이 쓰이는 인상입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프랑스어로, 백년전쟁(14세기) 당시 영국군이 정복한 어느 도시에서 기원합니다. 정복자는 강렬한 저항으로 입은 피해의 책임으로 지도층의 처형을 요구했고 시 정부 측에서는 대상자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을 때 그 도시에서 가장 부자인 사람이 자발적으로 나섭니다. 그리고는 뒤를 이어 시장(市長)을 비롯해 각 계층에서 덕망이 높은 사람들이 처형대에 오르는데 임신한 영국 왕비의 간청으로 살려주게 됩니다.

그 이후로 사회적 책임(社会的責任)이란 의미로 쓰입니다만 기원전 고대 로마에도 이 정신이 귀족들 사이의 자부심으로 존재했습니다. 로마 귀족은 자신이 노예와 다른점이 사회적 의무와 책임을 다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병역을 자청하는데 명장 하니발과의 전쟁에서 로마 집정관이 13명이나 전사했다고 합니다. 집정관(執政官)은 정치의 최고 지도자로 공화정(共和政)이었던 로마에서는 임기 1년의 집정관이 둘이서 다스렸습니다.

어떻게 하면 군대 안 보낼까 고심하는 현재의 한국과는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그렇지만 미국은 로마의 그 전통을 계승하여 기업 리더의 행동이 종종 뉴스에 오르곤 합니다.

이 사회적 책임은 비단 재벌 총수나 포춘지(Fortune)에 이름을 올리는 기업만 해당되는 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지역과 국가, 인류 사회의 혜택을 누리는 우리 모두가 느끼고 행동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업을 한다고 생각할 때부터 봉사활동의 연장선으로 비영리법인(NPO)를 고려하고 있었습니다만 노력에 비해 활동과 사회 공헌도가 저조해서 그것이 항상 고민이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의 재능도 시험할 겸 영리 법인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변명으로 밖에 비치지 못하지만 드디어 제가 할 일을 찾은 듯 합니다.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 드리고 싶습니다.
학창시절 행동으로 말할 수 있을 때까지 홀로임을 느껴야한다는 서정윤씨의 말을 기억하고 있거든요.

【日本語版】
商人について
http://lucen2k.tistory.com/61

posted by 루슨


政治の夢を抱きながら 20年余りの間、ボランティアに参加してきた私が 5年前から事業家の道を歩んでいます。

法人設立する時、地球の上に5つ点を付けて目標を掲げました。
その 4番目に掲げた目標でもある中国事務所を準備しながら、ずっと頭の中で考えてきた商人についてまとめてみたいと思います。

商人と言えば、最初に何を思い浮かべるでしょうか?

それは、お金でしょう。
お金といえば財閥 2世。 その財閥が商人だからね。

しかし、商人の社会的地位は、結局お金が作り出した虚像にすぎないのです。昔から商人というのは軽視され、今も時には政治家の尻拭いをしています。

昔の階級は、公卿大夫(くげたいふ)と士農工商に分かれていました。公卿大夫(くげたいふ)は官職についた人であり、一般市民を士農工商に分けますが、その中でも一番身分の低い階層が商人です。

韓国での士は士人であるのに対し、日本ではサムライ(侍)で、あとは同じです。
もちろん中国から伝来してきており、原因を遡ってみると孔子の時代であった周(紀元前1046年〜紀元前256年)まで遡ります。

古代中国の三皇五帝時代を経て、夏・殷・周(か・いん・しゅう)の時代があったのは、学生時代に学んだでしょう?

ここで夏(紀元前2070年頃 - 紀元前1600年頃)を滅ぼして王朝を立てたとされた殷が元々は商でした。
商の最後の都が殷であったこと、これは周の記録にも殷であると残されており、一般的には殷と呼ばれていますが、考古学では王朝を立てた部族が商であった事から「商」と呼んでいます。

封建国家に成長した周は、功臣や親族たちを各国に派遣して治めました。その時、私たちに大変有名な功臣姜太公(太公望 姜尙)は周を下賜りました。
それで商の人は天下のどこにも居場所がなく、各国に流れて商売をするようになり、人々に「商の人」という意味で「商人」と呼ばれ始めました。

彼らは国を失い放浪をしていたので、良い待遇を期待することが出来ず、農産物や工産物が非常に不足した時代背景であったため、衣食住を満たすためにあらゆる物づくりを優遇しました。

韓国でも「農者天下之大本也」が三国史記(12世紀に韓国古代歴史をまとめた書、私の31代先祖も本作りに参加している)に出てくるほど民を養うことを最も大切にしました。

そのような商人が金を手にして飢えをしのぐ心配をしなくなったら気づくことがあります。
お金より大切なことがあるということを..
祖国と民族を心配するのは別の人がすることで、自分と子孫の栄光のために何をすべきか?

だから、昔は没落した貴族家門の族譜を買って身分を偽装したり、最近では名誉博士号や肩書きのために東奔西走しています。

しかし商人がすべきことは別にあります。

世の中で稼いだ金を再分配することです。
日本では『お金』の正確な語源の由来はありませんが、韓国では、「回って回るのが金」つまり韓国語でお金を意味する『ドン』は回ると言う動詞の『ドンダ』に由来したと言われています。

富の再分配と社会貢献は、ノブレス·オブリージュ(Noblesse oblige)で認識されますが、最近は社会的地位の高い人に求められる果たすべき責任として多く使われる印象です。

ノブレス·オブリージュはフランス語で、百年戦争(14世紀)当時のイギリス軍が征服した都市で起源しました。
征服者は、激しい抵抗で受けた被害の責任を指導者階級者にて処刑要求をした際に、市の政府が対象者を決められなかったとき、その都市で最も豊かな人が自ら手を上げました。それに続き市長や各人望の高い人々が自ら処刑台に上がったのですが、当時妊娠していた英国王妃の懇願で生かすことになりました。

それ以来、社会的責任という意味で使われますが、紀元前の古代ローマにもこの精神が貴族たちの間では誇りに思われていました。
ローマ貴族は、自らが奴隷と異なるのは、社会的義務と責任を果たすことができる事だと信じていました。
そして兵役を自ら要望し、名将ハニバルとの戦争ではローマの執政官が13人も戦死したそうです。
執政官は政治の最高指導者であり、共和政であるローマでは任期1年の執政官が二人で治めていました。

どうすれば自分の息子を軍隊に送らずに済むかを苦心する現在の韓国とは大違いであります。
しかし米国では、ローマのその伝統を継承し、企業リーダーの行動がしばしばニュースで報道されます。

この社会的責任は、単なる資産家やフォーチュン(Fortune)に名前を上げる企業だけ該当するわけではないと思います。
地域と国家、人間社会の恩恵を享受する私たち皆が感じて行動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感じています

事業をすると考えたときから、ボランティア活動の延長線上に非営利法人(NPO)を考慮していましたが、努力に対し活動と社会貢献度が低迷していることが、私にとって常に悩みでした。

それで、自分の才能を試す事も兼ねて営利法人をしています。まだ言い訳にしかならないだろうけど、ついに私がすべきことを見つけた気がします。

それは言葉ではなく行動で示したいです。

学生時代、行動で話せるように成るまで努力し続けるしかないと、ソジョンユン(徐正潤)さんの言葉を覚えていますから。

【한글판】
상인(商人)은 상나라 사람이란 뜻?
http://lucen2k.tistory.com/62

posted by 루슨